본문 바로가기
game

클라우드 게이밍 후기: 6년 된 노트북으로 '사이버펑크' 돌려본 딜레이 체감

by tomorrowbliss 2025. 11. 13.

목차


    반응형
    클라우드 게이밍 후기: 6년 된 노트북으로 '사이버펑크' 돌려본 딜레이 체감
    클라우드 게이밍 후기

     

    이 글은 필자의 개인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인터넷 환경과 개인 민감도에 따라 딜레이 체감은 다를 수 있습니다.

    1. 저사양 PC 유저를 위한 3줄 요약

     

     

    • 결론: 6년 된 제 노트북(내장그래픽)으로 '사이버펑크 2077' 풀옵션 플레이, 성공적으로 가능했습니다.
    • 딜레이(지연): RPG, 어드벤처 장르는 전혀 문제없습니다. 단, 0.1초가 중요한 경쟁 FPS(에이펙스 레전드 등)는 솔직히 비추천합니다.
    • 추천: '지포스나우' (이미 게임 보유 시), 'Xbox 클라우드' (게임 뷔페 원할 시)

    2. "사이버펑크 2077, 사고 싶은데... 내 노트북은 15프레임입니다"

    제 6년 된 사무용 노트북(인텔 내장그래픽)으로 <사이버펑크 2077>을 실행해 봤습니다. 결과는 처참했습니다. 스팀에서 구매는 했지만, 메인 화면에서 15 FPS(초당 프레임)가 나오더군요. 사실상 플레이 불가능.

    여러분도 공감하실 겁니다. 유튜브에서 본 화려한 그래픽, <발더스 게이트 3> 같은 명작들을 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수백만 원짜리 그래픽카드(RTX 4080...) 가격표 앞에서 좌절합니다. '이번 생엔 고사양 게임은 틀렸나...'

    하지만 만약, 월 1~2만 원으로 이 모든 게임을 '풀옵션'으로 돌릴 방법이 있다면 어떨까요? 그것도 지금 가진 저사양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말입니다. 바로 '클라우드 게밍' 이야기입니다.

    이 글은 광고가 아닙니다. "딜레이는 없는지", "정말 할 만한지" 궁금해하실 저 같은 분들을 위해, 제 돈 내고 직접 체험해 본 솔직한 후기입니다.


    3.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 (클라우드 게이밍 1분 개념)

    간단합니다. 게임은 저 멀리 있는 초고성능 슈퍼컴퓨터(서버)에서 실행됩니다.

    제 노트북은 단지 그 슈퍼컴퓨터가 보내주는 '게임 영상(스트리밍)'을 받아 재생하고, 저는 '조작 신호(키보드, 마우스)'만 보낼 뿐입니다. 넷플릭스를 보는데 TV 성능이 중요하지 않은 것과 같은 원리죠.

    여기서 핵심은 '인터넷 속도'와 '지연 시간(Latency)'입니다. 영상이 끊기거나, 내 조작이 늦게 반응하면 게임을 할 수 없으니까요.

    4. 솔직 리뷰: 지포스나우 vs Xbox 클라우드

    저는 대표적인 두 서비스, '지포스나우'와 'Xbox 클라우드 게이밍'을 모두 유료 결제하여 테스트해 봤습니다.

    4-1. 지포스나우 (GeForce Now)

    'PC방' 개념에 가깝습니다. 내가 이미 스팀(Steam), 에픽게임즈에서 '구매한 게임'의 라이선스가 있어야 합니다. 대신, 'RTX 4080'급 최신 그래픽카드로 게임을 돌려주기 때문에 화질이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얼티밋 요금제 기준)

    👍 장점: 압도적인 화질(4K/120Hz 가능), 키보드/마우스 완벽 지원, 스팀 라이브러리 연동.
    👎 단점: 내가 게임을 '소유'하고 있어야 함, 무료/베이직 요금제는 대기열 발생.

    4-2. Xbox 클라우드 게이밍 (xCloud)

    '넷플릭스' 개념입니다. '게임패스 얼티밋' 요금제에 가입하면, 라이브러리에 있는 수백 개의 게임(헤일로, 포르자, 스타필드 등)을 '소유'하지 않아도 바로 즐길 수 있습니다.

    👍 장점: 압도적인 '가성비' (수백 개 게임 뷔페), 게임 구매 비용 0원, Day-1 신작 바로 플레이.
    👎 단점: 지포스나우 대비 낮은 화질/비트레이트, 일부 게임(특히 PC)에서 패드 강제.

    5. [핵심] 딜레이(지연시간), 정말 괜찮았나? (장르별 체험 후기)

    가장 중요한 질문입니다. "그래서, 딜레이는?"

    [테스트 환경] 부산, KT 기가 인터넷 (500Mbps), 유선 LAN 연결. 저사양 노트북 사용.

    5-1. RPG/어드벤처 (사이버펑크 2077, 발더스 게이트 3)

    결론: 완벽합니다. (Strongly Recommend)
    솔직히 충격이었습니다. 0.1초 늦게 스킬이 나가거나 대사가 떠도 아무런 지장이 없는 장르입니다. 미세한 딜레이? 전혀 체감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내장 그래픽으로 보던 찰흙 그래픽 대신, '풀옵션 레이 트레이싱'이 켜진 화면을 보니 감동적이었습니다. 저사양 PC 유저가 이 장르를 한다면 무조건 추천합니다.

    5-2. 경쟁 FPS (에이펙스 레전드, 오버워치 2)

    결론: 솔직히 비추천합니다. (Not Recommended)
    이 부분에서 클라우드의 한계가 명확히 드러났습니다. 딜레이가 '존재'합니다. 로컬 PC에서 10ms(0.01초)로 반응하던 것이, 클라우드에서는 50~80ms(0.05~0.08초) 정도로 느껴집니다. 적을 보고 쏘는 순간, 저는 이미 죽어있었습니다. '즐기는' 수준은 가능하지만, '경쟁'이나 '승리'를 목표로 한다면 엄청난 스트레스입니다.

     

     

    6. 클라우드 게이밍 입문 전, 3분 체크리스트 (FAQ)

    지금 바로 시작하고 싶으신가요? 이 3가지만 확인하세요.

    Q1. 인터넷 속도, 진짜 권장 사양은?

    FHD(1080p) 기준, 최소 50Mbps 이상의 '안정적인' 속도를 권장합니다. 4K(지포스나우 얼티밋)는 100Mbps 이상을 추천합니다.

    (조언) 하지만 숫자보다 100배 중요한 것은 '유선(Wired LAN) 연결'입니다. 아무리 좋은 Wi-Fi 6E라도, 무선은 간헐적인 핑(Ping)튐 현상이 있습니다. 쾌적한 플레이를 원한다면 무조건 유선 랜선을 연결하세요.

    Q2. 패드(컨트롤러) 꼭 사야 하나요?

    '지포스나우'는 PC 기반이라 키보드/마우스가 완벽하게 작동합니다. 하지만 'Xbox 클라우드 게이밍'은 콘솔 기반이라, 많은 게임이 '게임 패드'를 요구합니다. Xbox 클라우드를 고려 중이라면 엑스박스 컨트롤러(또는 호환 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무료 vs 유료, 뭐가 다른가요?

    '지포스나우'의 무료 티어는 '체험판'입니다. 1시간마다 끊기고, 접속 대기열이 깁니다. 사실상 유료 구독(베이직/얼티밋)을 강제합니다.

    클라우드 게이밍을 '제대로' 경험하려면, 월 1~2만 원의 구독료는 필수적인 투자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7. 결론: 저사양 PC 유저에게 '혁명', 하지만 '만능'은 아님

    클라우드 게이밍은 300만 원짜리 게이밍 PC를 '대체'하는 기술은 아직 아닙니다. 특히 딜레이에 민감한 FPS 게이머에게는 그렇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6년 된 노트북으로 <사이버펑크>의 야경을 '풀옵션'으로 즐기고 싶었던 사람에게는 '혁명'이자 '축복'이 맞습니다.

    더 이상 그래픽카드 가격에 좌절하지 마세요. 당신의 노트북은 이미 고사양 게임을 즐길 준비가 되었습니다.

    반응형